物象이란 광의적으로 ‘자연계의 事物과 그 變化 현상’을 일컫는 말인데, 이것은 한 마디로 온전한 형태를 갖추어 눈으로 직접 확인되는 상황 전반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즉 萬物이 氣(intangible)에서 象(tangible), 象(invisible)에서 物(visible)로 순환되는 과정에서 干과 支의 관계, 그리고 刑沖會合과 五運六氣의 動搖(동요, rolling), 合作(joint) 등으로 變하는 모든 상황을 포괄하는 槪念이라 할 수 있습니다.
八字術에서 物象을 포괄해서 추리하는 기법, 物象法은 경험의 반복과 施行錯誤를 거쳐 直覺(직각)의 경지에 오르므로 命理學習의 高級段階라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닙니다. 또한 物象에서는 ‘나들이(outing)’이라는 콘셉트를 도입해서 吉凶의 代替(대체, fungible) 현상과 방안을 다루고 있으므로 開運의 지침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각별한 테두리로 볼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로 八字에 午卯나 子卯, 子丑 등의 글자가 있을 때 - 혹은 流年에서 이 같은 글자가 성립되면 – 浴(욕)의 조합이 되어 ‘찌르고, 얽히는’ 表象이므로 흔하게는 남녀의 性交행위나 바느질, 자동차수리에서 傷害나 흉터, 手術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의 모양과 상태로 나타나기에 하나의 徵候가 뚜렷해지면 나머지 현상은 무효가 된다는 뜻입니다. 物象에서는 두 개의 글자가 모이면 곧 動(movement)하는 것이고, 이러한 작용력은 특히 刑沖會合에서 명백해지므로 物象法은 刑沖會合과 직결되는 사안입니다.
주변에서 흔히 집안에 있으면 아프고, 나가서 움직이면 가분하다는 사람들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처럼 刑沖會合의 動機는 社交와 活動, 發展의 근원이 되므로 그 작용을 잘 파악해서 活用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보통은 運動만큼 무난한 액땜이 없습니다. 실상에서 나타나는 替(체)의 대부분은 六親의 分離와 活人으로 갈무리되고, 혹은 약한 五行의 物象을 業으로 삼는 것입니다.
⋆ Tips on inference [random*]
[session 1]
1. [字形] 懸針 ▶ 甲, 辛, 卯, 午, 辛cf. 丁, 子, 未, 申
子, 午, 卯, 酉는 모두 懸針(현침)과 관련 있다. 陽刃이 겹치면 劍難(검난), 手術, 傷害 등이 따른다.
火土子, 水午, 金卯, 木酉는 四敗다. 色難, 活人이 替로 작용한다.
戌亥, 戌子 : 胃潰瘍(위궤양)을 면할 수 없다.
午 : 복부
□壬□□
□子戌□⋖ 卯 手術
甲甲□□
子戌戌亥 ⋖ 卯 手術 外 複雜 양상
※ note 酉와 戌의 차이 :
|
2. [字形] 曲脚 ▶ 乙, 己, 巳, 丑
丑戌未 三刑은 雙針(쌍침), 曲脚(곡각)의 joint.
刑과 針(침)이 動할 때 身病을 앓는다. 不動産이 替(체)로 작용한다.
※ note
代替의 未完과 完成[incompletion/completion] :
|
3. 入墓
水辰, 火土戌, 金丑, 木未가 入墓다.
刑沖에 해당 天干이 入墓다.
戊辛甲□
戌丑寅□ ⋖ 午 手術, 未 死亡
※ note
戌庫(火) : 丑庫(金) : 未庫(木) : 매매와 수리: |
4. 羅網 cf. 八卦
戌亥와 辰巳 중 각각의 글자가 섞이는 경우다. 그물을 빠져나가기 어렵다는 의미다.
四敗가 亥를 만나면 刑厄, 囚獄(수옥)이다.
己亥 日柱 坤命의 夫星은 갇혀있다.
※ note 後天八卦는 收藏을 표시
乾巽羅網(건손라망) : 監禁身厄(감금신액)이다. 乾坤關軸(건곤관축) : 達通名動(달통명동)이다. 坤艮鬼門(곤간귀문) : 精神異常(정신이상)이다. ★ 虛字[動]: 飛合, 共挾, 引合, 倒沖 |
5. 卯酉는 日月陰陽의 門으로 淫亂(음란)
日支 卯와 酉는 亥年에 分離다.
戊癸壬□
午酉午□ ⋖亥刑
戊己癸□
辰卯酉□ ⋖亥刑
6. 同柱死 物象
甲午 |
불 탄 나무 |
火局에 精神病, 火災다 |
심장, 소장, 간, 신경, 복부, 두통 |
乙亥 |
뿌리가 썩은 나무 |
沖의 替는 배를 타야 한다. |
신장, 방광, 간, 신경정신, 두통 |
庚子 |
물에 잠긴 쇠 |
水局에 水厄이다. |
방광, 대장, 호흡기, 요도, 폐결핵 |
辛巳 |
불에 녹은 쇠 |
沖의 替는 비행기를 타야 한다. |
폐결핵, 해수병, 허리상해 |
甲은 午를 낳으면 死하고 未運에 入墓다.
乙은 亥를 낳으면 死하고 卯未合運에 入墓다.
庚은 子를 낳으면 死하고 丑運에 入墓다.
辛은 巳를 낳으면 死하고 酉丑合運에 入墓다.
辛辛乙□
卯酉亥□⋖ 亥年 父親 永眠(영면)
7. 入墓 두 번째 버전
子는 辰에, 午는 戌에, 酉는 丑에, 卯는 未에 入墓다.
坤,
庚甲□□
午戌□□
乾,
庚丁庚□
子酉辰□
※ note
부부가 헤어져야 자식이 살고, 자식이 없어야 부부가 해로한다. (없거나 키워서 잃는다) 甲庚□□ 申午□□ |
8. 子는 丑과 辰에 묻힌다
坤,
己丙□□
丑子□□⋖ 子年 夫亡
乾
甲丁□□
子丑□□⋖ 子年 子亡
※ note
亡이 아닐 경우는? 月令을 얻으면 좀체 入墓하는 일이 드물다. |
9. 入墓 세 번째 버전
申은 辰에, 寅은 戌에, 巳는 丑에 亥는 未에 入庫한다. 合이 아닌 joint.
四猛은 入墓를 논하지 않는다. 그래서 ‘묻힌다’가 아닌 ‘치인다’는 표현이 가하다.
寅이 車라면 戌은 路다. 午는 죽지만, 寅은 살아난다.
'이수 사주명리학 > 물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複式(multiple)물상론/ 이수 사주명리학 (0) | 2012.03.25 |
---|---|
單式(simple)물상론/ 이수 사주명리학 (0) | 2012.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