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망일반론
공망 일반론
아래의 육십갑자 조견표를 보면 10개의 천간과 12개의지지가 결합하였지만 순 중에 포함되지
않은 지지가 각각 두 개씩 있다.
이렇게 남는 2개의 지지를 공망이라 한다.
육십갑자는 십간 십이지를 양과 양, 음과 음끼리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갑자 순에서 갑과 자, 을과 축, 병과 인, 정과 묘 순으로 조합하다 보면
지지의 술과 해가 갑자의 순에서 제외되며 이를 공망이라고 하는 것이다.
(공망조견표)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 술해 공망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 신유 공망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 오미 공망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 진사 공망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 인묘 공망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 자축 공망
일간을 중심으로 해서 간지를 대조하여 공망을 가린다.
사주에 공망이 있으면 글자가 의미하듯이 본래의 사주상의
글자가 의미하는 뜻이나 육친이 허망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길성이 있더라도 그것이 공망되면 그 길성이 작용을 못하게 되며,
반대로 흉성이 공망되면 흉조가 사라지며 때로는 길조조차 나타나게 된다
또 사주의 어느 지지가 공망되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운명도 달라진다
1. 년지를 공망하면 항상 고생이 그치지 않고 발전을 하기 힘들다.
2. 월지를 공망하면 형제가 드물며 있어도 힘이 되지 아니한다.
3. 시지를 공망하면 자식이 없거나 있어도 도움이 안된다.
4. 년지와 월지를 같이 공망하면 처자와 이별한다.
5. 년, 월, 시지 모두가 공망되면 오히려 귀한 사주가 되며 길하다.
6. 공망 당한 지지가 육합이 되면 공망으로서의 작용을 못한다.
7. 서로 충하는 지지를 공망하면 충으로 인한 흉은 길조로 변할 때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