用神의 成敗와 救應을 論함
2. 論用神成敗救應 用神의 成敗와 救應을 論함
用神專尋月令 以四柱配之 必有成敗
用神은 오로지 月令에서 구하고, 四柱에는 필시 成敗가 있다.
何謂成 如官逢財印 又無刑衝破害 官格成也
무엇을 이르러 成이라 하는가. 가령 正官이 財와 印綬를 보면서 刑沖破害가 없으면 正官格이 成格되었다고 한다.
財旺生官 或財逢食生而身强帶比 或財格透印而位置妥帖 兩不相剋 財格成也
月令이 財星인데, 財旺生官이 되거나, 혹은 食神이 財를 生하면서 身强하고 比肩이 있거나, 혹은 印綬가 透出하여 그 위치가 적절하여 財와 印綬가 서로 剋하지 않으면 財格이 成格이 된다.
印輕逢煞 或官印雙 全或身印兩旺而用食傷洩氣 或印多逢財而財透根輕 印格成也
月令이 印綬일 때, 印綬가 輕한데 七殺이 있어서 弱한 印綬를 生助하거나, 혹은 官印雙全하거나, 혹은 身印兩旺한데 食傷을 써서 洩氣하거나, 혹은 印綬가 많은데 財가 天干에 透出하고 財의 뿌리가 弱한 것 등은 모두 印格이 成格이 된 것이다.
食神生財 或食帶煞而無財 棄食就煞而透印 食格成也
月令이 食神인데 食神生財가 되거나, 혹은 食神과 七殺이 있고 財가 없거나, 食神을 버리고 七殺을 취해야 할 경우에 印綬가 透出한 것 등은, 모두 食神格이 成格이 된 것이다.
身强七煞逢制 煞格成也
月令이 七殺인데 食神이 七殺을 制伏하는 것은 七殺格이 成格이 된 것이다.
傷官生財 或傷官佩印而傷官旺 印有根
月令이 傷官인데 財가 있거나, 혹은 傷官이 왕성한데 傷官佩印이 되면서 印綬가 地支에 通根한 것,
或傷官旺身主弱而透煞印 或傷官帶煞而無財 傷官格成也
혹은 傷官이 旺하고 身弱한데 七殺과 印綬가 동시에 透出한 것, 혹은 傷官格에 七殺만 있고 財가 없는 것은 傷官格이 成格이 된 것이다.
陽刃透官煞而露財印 不見傷官 陽刃格成也
陽刃格에 官殺이 透出하거나, 財와 印綬가 드러나 있고 傷官이 없으면 陽刃格이 成格이 된 것이다.
建祿月劫 透官而逢財印 透財而逢食傷 透煞而遇制伏 建祿月劫之格成也
月支가 日干의 建祿 또는 劫財인 경우에, 官星이 透出하고 財와 印綬가 있거나, 혹은 財가 透出하고 食傷이 있는 것, 혹은 七殺이 透出한 것 등은 모두 建祿格과 月劫格이 成格이 된 것이다.
[이수리뷰]
格局의 成敗를 原詩의 설명에 의존하여 판단하고 규정하기란 그리 간단하지 않다. 原詩는 결국 命式의 전체적인 상황과 六神의 위치를 모두 고려할 것을 주문하고 있는 셈이다. 또한 原詩에서 묘사하는 상황이 세밀하지 못하므로,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들어 해설하는 입장의 徐樂吾도 四柱 전체의 형세를 보고, 扶抑用神을 정해야 하며, 한 가지 이론에 얽매이지 않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이 대목에서 문제가 된다면 刑沖破害로 破格이 되는 상황이다. 徐樂吾는 이를 단순히 沖은 重히 여기고, 刑破害는 잘 살펴보고 참작해서 破格이 되는지를 살피라고 주문한다.
실상 格局의 高低를 살필 때 月支가 沖剋된 命式이나 刑破害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貴格의 사례는 대단히 많다. 심지어 干支論 편에서 日干이 無根한 경우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에도 불구하고, 실제의 貴象은 적지 않다.
刑沖이 된 命式은 開庫되는 藏干이 命式 원국의 他干과 合去될 가능성의 有無부터 살펴 成格 有無를 정하는 것이다. 가령 正官格의 月支가 刑沖이 되었다 할지라도, 藏干이 開庫된 경우를 상정해서, 他干과 合去되는 상황이 없으면 成格이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月支의 正官이 他干과 合去되어 분멸될 상황이라도 化神이 다시 官을 化할 경우에는 成格이 된다는 점은 秘笈(비급)이라 할만하다.
何謂敗 官逢傷剋刑衝 官格敗也
무엇이 敗인가. 正官이 傷官으로부터 剋을 당하거나 刑沖을 당하면 正官格이 敗, 즉 破格이 된다.
財輕比重 財透七煞 財格敗也
財가 경미하고 比劫이 많거나, 財가 透出하고 七殺이 있는 것은 모두 財格이 破格이 된다.
印輕逢財 或身强印重而透煞 印格敗也
印綬가 경미한데 財를 만나거나, 身强하고 印綬가 重한데 七殺이 透出되면 印綬格이 破格이 된다.
食神逢梟 或生財露煞 食神格敗也
食神이 梟神(偏印)을 만나거나 또는 財와 七殺이 모두 있으면 食神格이 破格이 된다.
七煞逢財無制 七煞格敗也
七殺이 財를 만나고 食神의 制伏이 없으면 七殺格이 破格이 된다.
傷官非金水而見官 或生財而帶煞 或佩印而傷輕身旺 傷官格敗也
金水傷官格을 제외하고 正官이 있는 傷官格과, 傷官生財가 되면서 七殺이 있는 것과, 傷官은 미약한데 身强하고 印綬가 있는 것은 모두 傷官格이 破格이 된 것이다.
陽刃無官煞 刃格敗也
陽刃格에 官殺이 없으면 陽刃格이 破格이 된다.
建祿月劫 無財官 透煞印 建祿月劫之格敗也
月令이 建祿, 月劫인데 財官이 四柱에 없거나, 七殺과 印綬가 透出한 것은 모두 月令 建祿과 月劫의 格局이 破格이 된 것이다.
[이수리뷰]
原詩의 내용이 단조롭고, 축약되어 실망감이 일기 시작하는 부분이다. 이 대목을 굳이 예를 들어가며 상세히 기술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대강의 의미를 이해하고 읽기에 속도를 붙여나가는 게 좋다.
특이하다면 金水傷官格을 제외하고, 正官이 있는 傷官格은 모두 破格이 된다고 설명한 부분인데, 徐樂吾는 이 부분을 『調候의 시급성』으로 설명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調候는 金水傷官格뿐만 아니라 體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선결되어야 할 문제다.
成中有敗 必是帶忌 敗中有成 全憑救應
成中有敗(成格이 破格으로 귀결됨)은 필히 꺼리는 것이 있기 때문이고, 敗中有成(破格이 成格으로 구제됨)은 救應이 있기 때문이다.
何謂帶忌 如正官逢財而又逢傷 透官而又逢合
꺼리는 것이란 무엇인가. 가령 正官格이 財를 만나 正官格이 成格이 되었다고 해도 만약 四柱에 傷官이 있거나 혹은 正官이 合을 당한 경우,
財旺生官而又逢傷逢合
혹은 財가 왕성하여 正官을 生하는데 傷官이 있어 正官을 파괴하거나 正官이 合去되는 경우,
印透食以洩氣 而又遇財露
印格에 食神이 透出하여 洩氣하는 用神으로 삼는데 다시 財가 透出된 경우,
透煞以生印 而又透財以去印存煞
七殺이 透出하여 印綬를 生하고 있는데 다시 財가 透出하여 印綬가 파괴되고 七殺만 남는 경우,
食神帶煞印而又逢財
食神格에 七殺과 印綬가 있는데 또다시 財가 있는 경우,
七煞逢食制而又逢印
七殺이 食神의 制伏을 받고 있는데 다시 印綬가 있는 경우,
傷官生財而財又逢合
傷官生財格인데 財가 合去한 경우,
佩印而印又遭傷
印綬가 用神인데 그 印綬가 파괴된 경우,
陽刃透官而又被傷
陽刃格에 正官이 透出했으나 正官이 파괴된 경우,
透煞而又被合
陽刃格에 七殺이 透出했으나 七殺이 合去된 경우,
建祿月劫透官而逢傷 透財而逢煞
月支가 建祿 또는 劫財인데 正官이 透出하고 다시 傷官의 剋을 당하거나 혹은 財가 透出하고 다시 七殺이 透出한 경우,
是皆謂之帶忌也
이상은 모두 꺼리는 것이 있는 것이다.
何謂救應
무엇이 救應인가?
如官逢傷而透印以解之
예컨대 正官이 傷官을 만났는데 印綬가 있어 傷官을 제압하는 것,
雜煞而合煞以淸之
正官과 七殺이 섞였는데 合殺하여 淸하게 되는 것,
刑衝而會合以解之
刑沖이 있어도 會合으로 해소하는 것,
財逢劫而透食以化之 生官以制之
財가 劫財를 만났는데 食神이 透出하여 劫財를 化하거나 正官이 있어 劫財를 제압하는 것,
逢煞而食神制煞以生財 或存財而合煞
七殺을 만났을 때 食神이 制殺하거나 七殺을 合去하여 財가 살아남는 것,
印逢財而劫財以解之 或合財而存印
印綬가 財에 의해서 파괴되었는데 劫財가 있어서 이를 해소하거나 財를 合去하여 印綬가 남는 것,
食逢梟而就煞以成格 或生財以護食
食神이 偏印을 만났는데 七殺이 있어서 殺印相生이 되거나 食神이 偏印을 만났는데 財가 偏印을 파괴하는 것,
煞逢食制 印來護煞 而逢財以去印存食
七殺과 食神과 印綬가 있을 때 印綬가 七殺을 보호하거나 財가 있어서 食神을 보호하는 것,
傷官生財透煞而煞逢合
傷官生財格에 七殺이 透出했으나 七殺이 合去되는 것,
陽刃用官煞帶傷食而重印以護之
陽刃格에 官殺을 用神으로 삼는데 食傷이 官殺을 剋하여 좋지 않을 때 印綬가 食傷을 剋하여 官殺을 보호하는 것,
建祿月劫用官 遇傷而傷被合
月令이 建祿 月劫이고 正官을 用神으로 삼는데 傷官을 만나 破格이 되었으나 傷官이 合去되는 것,
用財帶煞而煞被合
財를 用神으로 삼는데 七殺이 있어 破格이 되려고 하는데 七殺이 合去되는 것,
是謂之救應也
이상과 같은 경우를 일컬어 救應이라고 한다.
八字妙用 全在成敗救應 其中權輕權重
八字의 妙用(묘용)은 모두 다 成敗와 救應에 달려 있으니 그 輕重을 잘 살펴서 응용해야 한다.
甚是活變學者從此留心 能於萬變中融以一理 則於命之一道 亦庶幾乎
배우는 자는 이 점을 유의하면 만 가지 변화를 꿰뚫는 한 가지 이치를 능히 깨우칠 수 있다.
[이수리뷰]
八字의 成敗救應은 徐樂吾가 즐겨 쓰는 표현대로 천만변화하는 妙用이 있다. 그러나 이는 我田引水나 耳懸鈴鼻懸鈴式 해설을 낳기 쉽다는 문제점 또한 시사한다. 徐樂吾가 예시한 각종 명례를 굳이 부기하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연습은 후차적으로 할 기회가 책의 후반부에 있으므로 일단은 原詩에 충실하여 대강을 이해해두기만 하면 무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