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 사주명리학/격국론
허자의 생성조건.
010-2089-1117
2012. 3. 21. 11:38
허자의 생성조건.
허자는 공협과 도충 특합 세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 생성조간은 다음과 같다
1.공협
挾(끼이다) 말 그대로 이어지는 글자가 끼이는 것을 의 합니다
원국의 지지에 한글자를 건너띄어 나란히 있는 경우 가운데 글자를
허공에서 부른다
예) 자인.........>가운대 축을 부른다.
오진........>가운대 사를 부른다
삼합이나 방합의 두글자가 나란히 있으면 나머지 한글자를 부른다.
예) 자진........>삼합의 한글자 신을 부른다
인진........>방합의 한글자 묘를 부른다.
2.도충
같은 글자가 나란히 양립하면 충하는 글자를 부른다
예) 자자.......>오를 부른다
3.특합.
온전한 시지의 자는 사화를 부른다
여기서 온전함 이란 원국에서 충을 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위의 세가지 경우로 원국에 허자가 생성됩니다.
허자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는 전실과 기반 두 가지이며 각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1.기반
허자를 생성하는 글자가 충을 당한 경우 입니다.
예) 신인진.........>인신충으로 인이 상하여 공협의 글자 묘를 부르지 못합니다.
유묘묘........> 묘유 충으로 묘가 상하여 도충의 글자 유를 부르지 못합니다.
2.전실
허자가 이미 원국에 있는 경우에도 허자가 생기지 않습니다
예) 인인@신...........>신이 이미 있으므로 도충의 글자 신을 부르지 않습니다.
운(대운.세운)에서 생성되는 허자는 원국의 글자들과 형충되거나 없는 오행을
채워주어야만 사주체가 실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