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占時來情法*dictation
+
‘占時 來情’은 問占의 당일 日辰과 時辰의 상황 관계로, 상대방의 형편과 향후사의 단기적 전망치를 가늠하는 수법을 의미합니다. 보통은 日干에 時支를 대응하는 방법을 주로 활용하지만, 日柱나 日支를 주체로 보기도 하고 전체적인 판단에서 시간의 역할 또한 간과하지 않기 때문에 ‘日辰 대 時辰’의 관계로 정의하는 게 가장 무난합니다.
+
命理의 필드에서 占時 來情을 살필 때는 먼저 당시의 八字를 나열합니다. 이때 太歲와 월건은 이미 지난 상황을 뜻하여 크게 중요시 하지 않고, 현상을 의미하는 日辰과 사건의 결과를 암시하는 時辰 상황에 주안을 두게 됩니다.
時 |
日 |
月 |
年 |
결과 |
현황 |
경과 |
‘사건’의 시초 |
이렇게 年月日時의 八字를 나열하게 되면 사안과 관련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의 흐름을 읽어낼 수 있습니다. 가령 ‘시작이 좋고, 끝도 좋다’거나, 혹은 ‘애초에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마무리는 좋다’ 등의 여러 유형을 수렴해서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
향후사의 ‘좋고, 나쁨’의 대강을 인지하는 방법으로는 日干 대 각 地支의 六神 관계로 분류하게 되는데, 보통 殺傷劫梟(살상겁효)의 四凶神을 꺼림칙하게 여기므로 결과를 중시하는 관점에서 보면 일단 時支만큼은 四凶神에 속하지 않아야 소망을 이룰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時干 |
日干 |
時支 |
日支 |
이상의 日辰 대 時辰의 관계에서 현상을 분석하는 입장에 따라 사안의 주체가 되는 ‘日干’은 ‘나’일 수도 있고, ‘내방객’일 수도 있습니다.
이때 日支와 時干, 時支 중 유독 時支를 중요시하는 바는 그것이 곧 결과 상태를 암시하기 때문입니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의미로,
印綬 |
日干 |
劫財 |
印綬 |
위와 같이 누군가가 來訪한 시각이 時支 劫財, 즉 四凶神으로 정해졌다면
1. 日干을 ‘나’로 보았을 때,
상대는 도적과 같은 자로 향후 결과적으로 피해를 줄 인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日支는 현상을 반영한다고 했는데, 현재 시점에서 나의 형편은 안태함을 나타내고, 이때 日支 印綬와 時支 劫財와의 관계는 日支가 時支를 生助하는 상황으로 내가 상대를 도우려는 입장에 서는 것을 암시합니다. 時干 印綬는 나타날 결과와는 달리 상대의 의지가 불순하지 않음을 뜻하지만, 時支 劫財로 일을 망친다는 것입니다. ‘因緣法’에 뜻하지 않게 누군가가 스스로 찾아와 부하가 되길 청하거나, 자발적으로 도울 의사를 강력하게 피력하는 자라면 일단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유계가 있는데 바로 이런 경우를 두고 한말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사람을 만나는 時干 또한 함부로 정할 일이 아니라는 점을 늘 마음에 새기고 있습니다.
2. 日干을 ‘來訪客’으로 보자면,
日支와 時干의 印綬는 주변 상황이 모두 긍정적으로 얼핏 향후사의 밝은 전망을 점치게 하는 요인이 되지만, 결국은 時支 劫財로 실패하는 형국이다. 時干의 印綬보다 時支의 劫財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는 바는 간단한 이치다. 눈에 보이고 실감되는 바는 地支의 ‘靜物’이 반영하기 때문이다. 역으로 발상하면 내가 누군가를 만나는 시각은 나와 상대방 양자가 동시적 주체가 되기 때문에 둘 사이의 인연 吉凶 여부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까닭에 진정으로 좋은 占事를 알려주는 상대와 나는 곧 좋은 인연으로 작용할 개연성이 한결 높아진다.
+
日干을 ‘來訪客’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사건의 추이와 더불어 상대방의 貧富貴賤 대강 또한 능히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이때는 가급적 八字 전체를 포국하여 살피는 게 유리합니다.
印綬 |
日干 |
劫財 |
印綬 |
위와 같이 日辰과 時辰만의 배치로는 해석할 수 있는 범주가 국한됩니다. 日支 印綬로 상대방의 현재 상태는 용이하지만, 時支 劫財로 형편이 곧 기울 것임을 유추하는 정도. 여기에서 나아가 상대방의 출신이나 잠재성 유무를 파악하려면 아무래도 月建이나 太歲까지 확장해서 내용을 살피는 게 타당할 것입니다. 이를테면
印綬 |
日干 |
傷官 |
太歲 年柱 |
劫財 |
印綬 |
劫財 |
의 경우와,
印綬 |
日干 |
正官 |
太歲 |
劫財 |
印綬 |
印綬 |
의 경우는 상대방의 신분이나 출신 배경이 크게 차이가 나게 됩니다. 응당 전자에 비해 후자의 배경이나 과거 전력이 좋고, 군자의 풍모를 지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게 日干을 둘러싼 殺傷劫梟(살상겁효)의 四凶神이 重하면 重할수록 貧賤과 재난, 형액을 예고하는 반면 財官印食의 四吉神은 풍요로운 환경과 보다 긍정적인 작용력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이때 比肩은 평이 내지 경쟁 쟁투 상황을 암시하는 좋지 않은 의미로 해석될 때가 많습니다만, 地支의 글자가 祿에 속하면 祿神이라 해서 그것을 매우 貴하게 여겨 취업이나 승진, 시험 등에서 만족할 결과를 얻거나 발탁되는 경사가 따를 것임을 예고하는 吉한 의미로 해석합니다.
+
이즘에서 日辰을 ‘來訪客’ 위주로 살펴 日干 대 時支의 다양한 六神 관계를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日干 대 時支>의 관계로
' 時支가 建祿의 글자면, 녹봉, 직책 등과 관련해 吉事를 예고합니다.
' 時支가 劫財의 글자면, 주변 사람과의 쟁투, 배신사, 소송사를 예고합니다.
' 時支가 食神의 글자면, 진로가 열리고 의식이 풍족해짐을 예고합니다.
' 時支가 傷官의 글자면, 자손이나 수하로 인한 고충이나 좌천, 판단착오 등을 예고합니다.
' 時支가 財의 글자면, 재정이 풍요로워짐을 예고합니다.
' 時支가 官의 글자면, 승진이나 좋은 보직, 호평을 예고합니다.
' 時支가 殺의 글자면, 구설, 관액을 예고합니다.
다음은, <日支 대 時支>의 관계로
' 日支의 글자와 時支의 글자가 같으면, 접(接)이라 해서 전반사가 꼬이기 쉽고,
특히 四凶神의 글자가 겹치면, 일신의 횡액을 조심해야 합니다.
' 時支의 글자가 日支를 生하면, 주변 사람의 협조를 구할 수 있고,
日支가 時支를 生하면, 타인을 돕는다는 암시가 있습니다.
' 時支의 글자가 日支를 剋하면, 상황이 역전되는 암시가 있고,
日支가 時支를 剋하면, 현재 상황이 당분간 지속됨을 예고합니다.
+
六神의 성분으로 구분되는 길흉은 ‘刑沖會合’의 작용에 의해 成敗와 직결되는 변화를 부릅니다. 時干의 흐름과 나타날 결과를 살피는 占時 來情에서는 日支를 중심으로 時支와의 관계를 살피는데 주안하고, 月支와의 관계는 도외시합니다. 다만 日支와 時支의 관계가 '鬼門이나 怨嗔'에 해당하면 月支와의 刑沖 관계를 살펴 사안의 輕重을 가릴 필요가 있습니다.
1. '刑'이나 '沖'이 되면 사안의 변동과 일의 성사가 쉽지 않음을 예고합니다. 刑沖은 두 글자를 開庫시켜 藏干의 合去 작용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이것은 日支의 현상 자체도 불안한 국면을 상정하므로 刑沖이 성립되면 필시 해당 글자의 기물이 손상되는지의 여부를 살펴 현상과 결과를 예측해야 합니다.
이때 日支나 時支 어느 한 글자라도 기물이 손상되어 유실되면 日干 주체가 내디딜 발판이 사라지므로 몹시 위태로운 형국이라 할 수 있습니다. 두 글자 모두 유실되면 전혀 승산이 없으므로 고통을 피해갈 방법이 없습니다. 반면 刑沖이 성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合去의 상황이 나타나지 않아 글자가 온전하게 보존되고 그것이 四吉神에 속한다면 비록 일말의 장애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기특한 발전과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刑沖일 경우에는 時干의 글자가 관건이 됩니다. 刑沖의 작용력은 해당 글자를 타고 있는 천간의 의미를 증폭시키므로 時干의 글자 六神으로 더욱 구체적인 사안에 접근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대개 時干이 劫財나 傷官으로 구성되고 刑沖이 성립되면 禍厄을 면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습니다.
2. 三合과 半合의 '會' 현상은 吉變凶, 혹은 凶變吉의 추이를 예고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合化五行이 四吉神과 四凶神 어느 것에 속하는지에 따라 吉凶과 成敗가 좌우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六合의 '合'은 吉凶의 어느 측면이든 '작용력이 반감'되는 바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보통은 화합을 의미하여 좋은 의미로 해석되지만, 결과적으로 ‘凶은 반감되고 吉은 배가되는’ 것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合이 되면, 日支를 주체로 두고 合이 되는 글자의 六神을 살펴 애정이나 求財 등의 구체적인 사안을 살피게 됩니다.
+
日辰(日干)과 時支의 관계에서 비단 六神 이외에도 각기 작용력을 갖는 관계 성분들이 존재하는데 간과하기 어려운 몇 종의 주요 요소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天乙貴人’으로 占時가 貴人에 속하면 四凶神의 凶意가 반감되며 四吉神의 吉意는 배가되는 암시가 있습니다. 日時가 모두 貴人의 글자가 되는 호환귀인이 성립되면 時干의 六神에 주안해서 구체적인 사안의 경사를 예지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空亡’을 들 수 있는데, 占時가 空亡되면 吉凶은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만약 吉事를 물어오면 吉事는 희망할 수 없고, 凶事를 물어오면 凶은 사라지니 근심은 사라지는 格으로 해석하게 됩니다. 한편 빈터를 암시하기도 해서 상대의 형편은 휴지기의 국면으로 속진과는 무관하게 처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日干 대비 時支가 ‘墓’의 글자에 해당하면 진행하는 일에 장애나 막힘이 잦은 것으로 보게 되는데, 이것은 成敗를 좌우하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볼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四凶神의 글자에 속하면서 墓神에 해당되면 궁지에 몰릴 가능성이 한층 높아집니다.
반대로 ‘生’의 글자에 해당하면 吉한 의미를 한결 더하게 되는데, 이것은 누군가의 은혜와 원조를 입는다는 암시와 동시에 좋은 일로 활동량이 왕성해지기 쉽습니다. 그러나 만일 生의 글자가 空亡에 해당되면 좋은 의미는 모두 사라지고, 새롭게 도모한 일이 난관에 봉착하기 쉽습니다. 특히 부모님과 관련된 건강문제라면 최악의 경우를 상정해야 합니다.
‘浴(욕)’의 글자에 해당하면, 이를 敗神(패신)이라 해서 色情事를 예고하게 됩니다. 이때는 특히 日支의 글자를 주목해야 하는데, 敗神과 破碎(파쇄)가 동시에 성립되면, 가정이 깨진다는 凶意가 가중됩니다.
' 破碎 ; 寅申巳亥 日의 酉時, 子午卯酉 日의 巳時, 辰戌丑未 日의 丑時
이외 日時가 ‘鬼門’, ‘怨嗔’에 해당하면 그 자체로 吉凶成敗를 논하기보다는 필시 月支와 日支의 ‘刑沖’과 같이 성립되는지의 여부를 살펴 吉凶의 輕重을 논해야 합니다. 아무튼 怨嗔이나 鬼門이 성립되면 日支는 日干 주체의 환경과 형편을 뜻하므로 어떤 현상으로든 편치 않은 심사에 놓인 때가 많습니다.
보통 沖이나 怨嗔의 조합은 日時의 관계가 相剋으로 성립되어 日支를 주체로 보는 입장에서는 일차적으로 부정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게 됩니다.
時辰이 ‘白虎’의 글자에 속하면서 日支와 怨嗔이나 鬼門, 刑沖 등과 중복되면 日干 주체의 신변 안전부터 도모해야 합니다. 아울러 時干이나 時支의 六神에 해당하는 六親宮 여부 또한 그 신상을 긴밀히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가정에 질병이나 사고 등의 우환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하겠습니다.
+
끝으로 六壬에서는 占時가 계절기운으로 旺相期인지, 休囚期인지를 살피는 과정을 중시하고 있습니다. 간추리면 占時吉神에 旺相期이면 더욱 吉하고, 占時 凶神에 休囚期이면 더욱 凶하다는 식인데, 현장에서 체험하기로는 채용할 여지가 있는 대목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특히 占時가 墓의 글자일 경우에는 旺相期에 부정적인 의미를 해소하게 되고 특히 토지 관계의 사안이라면 긍정적 상황을 예고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수 사주명리학 > 팔자술 래정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講 三. 八字術來情法 (0) | 2012.03.25 |
---|---|
講 二, 相對者의 目的을 헤아리는 법 (0) | 2012.03.25 |
講一, 相對者의 貧富貴賤을 아는 법 (상대자의 부귀빈천을 아는 법) (0) | 201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