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論用神純雜 用神의 純雜을 論함
用神旣有變化 則變化之中 遂分純雜 純則吉 雜則凶
用神에 변화가 있음을 이미 論했는데 변화 가운데는 純과 雜이 있음을 구별해야 한다. 純하면 吉하고 雜하면 凶하다.
何謂純 互用而兩相得者是也
무엇을 純이라 하는가. 상호간에 작용하여 두 가지가 서로 得이 됨을 말한다.
如辛生寅月 甲丙竝透 財與官相生 兩相得也
가령 辛金 日干이 寅月에 出生했는데 正財 甲木과 正官 丙火가 모두 天干에 透出하면 正財와 正官이 서로 相生하여 서로 得이 된다.
戊生申月 庚壬竝透 財與食相生 兩相得也
戊土 日干이 申月에 生했는데 食神 庚金과 偏財 壬水가 둘 다 天干에 透出하면 偏財와 食神이 서로 相生하여 相得이 되는 것이다.
癸生未月 乙己竝透 煞與食相剋 相剋而得其當 亦兩相得也
癸水 日干이 未月에 生했는데 食神 乙木과 七殺 己土가 둘 다 天干에 透出하면 七殺과 食神이 相剋하는데 七殺을 食神이 制殺하는 것이 마땅하므로 이것 역시 相得이 된다.
如此之類 皆用神之純者
이런 모든 경우를 가리켜 用神이 純하다고 한다.
何謂雜 互用而兩不相謀者是也
무엇을 雜이라 하는가. 상호작용하여 두 가지가 서로 不相謀(서로 도모하지 않음)가 되는 것이다.
如壬生未月乙己竝透 官與傷相剋 兩不相謀也
예컨대 壬水 日干이 未月에 生하여 正官 己土와 傷官 乙木이 둘 다 天干에 透出하면, 傷官과 正官이 相剋하여 두 가지가 不相謀하여 나쁜 것이다.
甲生辰月 戊壬竝透 印與財相剋 亦兩不相謀也
甲木 日干이 辰月에 生하였는데 偏財 戊土와 偏印 壬水가 둘 다 天干에 透出하면 偏印과 偏財가 相剋하여 역시 不相謀가 된다.
如此之類 皆用之雜者也
이런 경우를 모두 用神이 雜하다고 한다.
純雜之理 不出變化 分而疏之 其理愈明 學命者不可不知也
純雜의 이치는 변화의 원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변화의 이치를 알면 자연 명백해진다. 命學者는 응당 변화의 이치를 알아야 한다.
변화의 이치는 會合과 五行의 生剋制化로 귀결된다. 이상이 子平眞詮의 모든 것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다. 徐樂吾는 그것에 충실하였다. 그러나 八字術은 그것만으로 모든 것이라 볼 수는 없는 법이다. 다만 교과서의 내용으로는 충분하다.
'이수 사주명리학 > 자평진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用神의 成敗와 救應을 論함 (0) | 2012.03.18 |
---|---|
用神의 變化를 論함 (0) | 2012.03.18 |
用神과 格局의 高低를 論함 (0) | 2012.03.18 |
成格이 破格이 되는 것과 破格이 成格됨을 論함 자평진전리뷰 / 이수 사주명리학 2011/12/29 12:55 수정 삭제 (0) | 2012.03.18 |
用神과 기후 관계의 得失을 論함 (0) | 2012.03.18 |